제작 학생: 11학년 임동준
모델링 소개: 인구 분포 3D 시각화 지도
제작 의도: 3D 모델링과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오차를 최소한으로한 정교한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서울시의 인구 분포에 비례하도록 서울시 25개 자치구에 각각의 높이를 부여하여 인구 분포를 입체적으로 시각화함. 컴퓨터 프로그램 속 3D 모델은 디지털 화면 특성 상 시야의 한계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여 이를 실제 모델로 출력함. 이와 더불어 디지털 화면 상의 그래프는 인지할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그래프의 높이 차이를 촉감으로 알 수 있게끔하여 시각장애인들의 통계자료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함.
제작 방법: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25개 자치구의 사진을 기반으로 하여 25개의 3D 모델 생성. 이후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25개 자치구의 인구 수를 이용하여 비례식을 세운 후 이를 각각의 자치구의 높이로 부여함. 출력된 자치구를 지도 상의 위치로 배치하여 완성하였으며 더욱 효과적인 시각화를 위해 인구 수가 가장 많은 구와 가장 적은 구는 모델의 색상을 달리함.
모델링:


출력된 모델링:



제작 학생: 11학년 임동준
모델링 소개: 인구 분포 3D 시각화 지도
제작 의도: 3D 모델링과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오차를 최소한으로한 정교한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서울시의 인구 분포에 비례하도록 서울시 25개 자치구에 각각의 높이를 부여하여 인구 분포를 입체적으로 시각화함. 컴퓨터 프로그램 속 3D 모델은 디지털 화면 특성 상 시야의 한계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여 이를 실제 모델로 출력함. 이와 더불어 디지털 화면 상의 그래프는 인지할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그래프의 높이 차이를 촉감으로 알 수 있게끔하여 시각장애인들의 통계자료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함.
제작 방법: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25개 자치구의 사진을 기반으로 하여 25개의 3D 모델 생성. 이후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25개 자치구의 인구 수를 이용하여 비례식을 세운 후 이를 각각의 자치구의 높이로 부여함. 출력된 자치구를 지도 상의 위치로 배치하여 완성하였으며 더욱 효과적인 시각화를 위해 인구 수가 가장 많은 구와 가장 적은 구는 모델의 색상을 달리함.
모델링:
출력된 모델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