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Think 5월 3차 활동: <브랜드 마케팅 분석 후, 한국과 비교>

채민
2025-05-29
조회수 66



4월 보고서 작성 활동 

5월 보고서 발표 

< 글로벌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은 우리나라의 브랜드와 어떻게 다를까? >

(+보고서 파일)


점심시간 도서관에서 작성한 보고서를 간단히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

각 보고서는 아래 첨부되어 있습니다. 




(11) 이채민- 미국 스타벅스 & 한국 카페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

1. 매장 디자인 전략 

2. 전략적인 매장 위치 선정 


미국 스타벅스 & 한국 카페 매장 

1. 매장 목적 

2. 소비자 반응 


결론: 이러한 차이는 단순한 기업 전략이 아니라, 각국의 문화, 소비자 성향, 미디어 환경, 경제 구조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11) 김민정- 네슬레(Nesquik) & 오뚜기 

네슬레의 마케팅 중점 요소 

1.브랜드 캐릭터 

2.건강과 활력 

3.디지털 콘텐츠 

4.글로벌 스탠다드 


오뚜기의 마케팅 중점 요소

1.’착한기업’ 이미지 

2.국민 식품 브랜드화

3.감성 콘텐츠 활용 

4.소비자 참여형 이벤트 


마케팅 전략 비교

네슬렉은 시각적으로 활발한 캐릭터 마케팅과 건강 중심 메세지를 내세우는 반면, 오뚜기는 감성적인 콘텐츠와 신뢰를 기반으로 장기적인 충성도를 확보하는 전략을 펼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이 분석을 통해 우리는 마케팅의 본질이 단순한 제품 홍보를 넘어서, 문화와 감정을 설계하는 직업임을 확인할 수 있다.





(11) 이서윤- 미국 디즈니 & 한국 하이브 

마케팅 전략 비교: 

 - 브랜드 확장: 

HYBE: K-pop 아이돌 → 게임, 웹툰, NFT, 패션 등    ≠       Disney: 애니메이션 캐릭터 → 영화, 테마파크, 머천다이징  

- 팬 플랫폼 운영: HYBE: 

Weverse 앱을 통한 팬덤 직접 관리 및 콘텐츠 판매    ≠       Disney: Disney+ 등 OTT 중심으로 콘텐츠 소비 유도

- 팬과의 관계: 

마케팅을 활용.  HYBE: 팬 참여형 마케팅(팬과의 투표, 댓글 반영 등)일방향 콘텐츠 제공 위주의 브랜드 중심

- 글로벌 타겟팅:  

HYBE: K-pop의 세계적 인기 활용, 현지화보다는 ‘글로벌 보편성’ 강조각 지역별 현지화 콘텐츠 전략 강화하여 여러 미디어 콘텐츠 TikTok, Twitter 등 MZ세대 중심 SNS에서 바이럴 집중           ≠         Disney: 공식 채널 및 자체 플랫폼 위주 홍보 전략 콜라보 -      루이비통, 맥도날드, 포켓몬 등과 콜라보스타워즈, 마블, 픽사 등 자사 IP 확장 중심 


사례 분석: 

HYBE- BTS와 맥도날드의 글로벌 콜라보 'BTS Meal'은 단일 프로모션으로 글로벌 판매량 급증을 기록함. 해당 프로모션은 음악과 식품 산업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크로스오버 마케팅 성공 사례로 평가됨. 

Disney- Marvel Universe, Star Wars 등 인수한 IP를 활용한 시리즈 콘텐츠 제작 및 디즈니랜드 연계. 팬층 확대와 지속적 소비 유도에 성공함. 





(10) 김예성- 미국 코카콜라 & 한국 코카콜라 

  1. 미국 코카콜라  

    - 감정 중심으로 글로벌 감성 마케팅을 전개함

    - 전 세계적 이벤트에서 가족, 친구와 즐기는 모습을 통해 공감 유도.

    - 음료 소비를 감정적 경험으로 연결함.


  2. 한국 코카콜라

- 미국의 감성 메시지를 바탕으로 한국 소비자 취향에 맞춘 현지화 전략을 추가함.

- 아이돌 모델을 활용해 젊은 세대 공략.

- 참여향, 트렌디한 마케팅을 펼침





(10) 정다은- 스타벅스 (미국&한국) , 애플 (미국&한국) 

1. 스타벅스 

미국- 일상적인 커피 브랜드로서의 이미지 강조, 접근성, 편암함 중시 

한국- 굿즈 마케팅, sns 통한 자연스러운 마케팅 효과 


2. 애플 

미국- 혁신성, 독창성, 철학 중심 브랜드 강조 

한국- 갤럭시와 경쟁 속 독립적 이미지 유지, 경험 중심 소비 유도 


결론: 글로벌 브랜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현지 소비자들의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 0